오늘은 코스피 지수의 월간 변동성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난번에는 코스피 지수의 일간 변동성과 주간 변동성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결론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일간 : '위아래로 1%, 하루종일 2%가 보통이다'
주간 : '위아래로 3%, 일주일에 3% 이상이 보통이다'
자세한 결과는 아래의 글을 참고해 주세요.
코스피 지수의 일간 변동성 분석
주가는 매일 변동합니다. 개별 종목은 하루에도 수십 퍼센트씩 변동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들었다 놨다 하죠.하지만, 지수는 그렇게 변동폭이 크지 않습니다. 당장 코스피 지수가 3% 정도만 위아
haksim.tistory.com
코스피 지수의 주간 변동성 분석
오늘은 코스피 지수의 주간 변동성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난번에는 코스피 지수의 일간 변동성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결론은 '위아래로 1%, 하루종일 2%가 보통이다' 였는데요. 자세
haksim.tistory.com
기본적인 옵션인 월물 옵션은 매월 만기가 돌아오죠. 그렇다보니 월 단위의 지수 변동은 옵션 투자자 입장에서는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옵션을 매수하는 입장에서는 큰 변동이 나오기를 바라고, 매도자 입장에서는 작은 변동이 나오기를 바라죠.
역사적인 월간 변동성을 알고 있다면,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때(급등, 급락 등) 좀 더 확률이 높은 상황을 가정하여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번달 주가가 5% 상승했다면? 상방에 투자를 할까요? 하방에 투자를 할까요? 물론, 시장 상황도 중요하지만, 과거에 5%의 변동성이 나왔을 때, 어떻게 움직였는지를 보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시장 상황은 달라도, 돈을 벌고 잃은 사람의 행동은 반복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분석 데이터 정의
국내에서 거래되는 선물과 옵션은 기본적으로 코스피200 지수를 바탕으로 합니다.
따라서, 코스피200 지수를 바탕으로 주간 변동성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코스피200 지수는 코스피 지수와 약간의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 코스피200 지수
- 기간 : 2020년 1월 5일 ~ 2025년 2월 23일
위와 같은 데이터를 통해 전월 대비 변동, 월간 최대 변동의 결과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전월 대비 변동
변동율 | 회수 | 비중(%) |
10% 이상 | 3 | 4.84 |
8 ~ 10% | 2 | 3.23 |
6 ~ 8% | 4 | 6.45 |
4 ~ 6% | 8 | 12.90 |
2 ~ 4% | 7 | 11.29 |
0 ~ 2% | 8 | 12.90 |
-2 ~ 0% | 8 | 12.90 |
-4 ~ -2% | 10 | 16.13 |
-6 ~ -4% | 5 | 8.06 |
-8 ~ -6% | 2 | 3.23 |
-10 ~ -8% | 2 | 3.23 |
-10% 이상 | 3 | 4.84 |
전월 대비 변동을 보면, -4 ~ 4% 구간이 약 53%, -6 ~ 6% 구간이 약 74% 입니다. 위아래 6% 구간을 넘어가면 비중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상승과 하락으로 나누어보면, 상승이 52%, 하락이 48% 입니다. 사실상 5:5 라고 볼 수가 있죠. 다만, 상승의 경우 높은 변동율에 하락보다 회수가 조금 더 많습니다. 그렇기 떄문에 결국 지수는 우상향을 하는 것이겠죠?
그럼, 그 중에서 8% 이상의 변동은 어떤 경우였을까요?
연월 | 변동율 | 사건 |
2020/03 2020/04 2020/11 2020/12 |
-11.64 9.01 14.74 12.50 |
코로나19 |
2022/01 2022/06 2022/09 2022/12 |
-9.19 -13.35 -12.88 -9.31 |
미국 금리 인상기 |
2023/01 2023/11 |
8.99 10.76 |
FOMC 피봇 기대감 공매도 금지 발표 |
먼저, 코로나19로 인한 급락과 급등의 시기입니다. 2020년 3월이 공포감에 의한 급락이었다면, 4월은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인한 급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에 따른 대규모 경기 부양책으로 인해 연말에는 엄청난 급등이 오게 됩니다.
다음은 2022년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인한 전세계적인 주가 하락기입니다. 시장은 빠른 피봇을 원했지만, FOMC는 계속해서 금리를 올리면서 실망으로 인한 주가 하락이 계속됐습니다.
마지막으로 2023년 1월은 사실상 그 전월의 급락에 대한 반작용으로 볼 수 있고, 2023년 11월은 공매도 금지 발표로 인한 시장 상승으로 볼 수 있습니다.
월간 최대 변동
변동율 | 회수 | 비중(%) |
0 ~ 5% | 7 | 11.29 |
5 ~ 10% | 39 | 62.90 |
10 ~ 15% | 10 | 16.13 |
15 ~ 20% | 5 | 8.06 |
30% 이상 | 1 | 1.61 |
월간 최대 변동은 월중 고가에서 저가까지의 변동을 말합니다.
월간 최대 변동이 제일 많이 나온 구간은 5 ~ 10% 구간입니다. 거래월의 62.90%가 이 정도의 변동을 보였습니다. 이를 0 ~ 5% 변동과 합치면 74.19%로, 사실상 특별한 일이 없다면, 코스피는 한달 내내 10%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즉, 그 위치가 어디인지는 알 수 없으나(예를 들면, -1 ~ 9%, -7 ~ 3% 등등). 10% 짜리 통 안에서 코스피가 움직인다는 것이죠.
이 결과를 '전월 대비 변동'과 함께 해석해 보면, 10% 짜리 통은 -6 ~ 6% 사이에 있을 확률이 제일 높다고 볼 수 있죠.
정리
오늘은 코스피가 월간 단위로 얼마나 변동하는지를 알아봤습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코스피의 전월 대비 변동은 74.19%가 -6 ~ 6% 이다.
- 코스피의 월간 변동은 74.19%가 0 ~ 10% 이다.
우연히도, 위의 두 확률이 소수점까지 같네요.
오늘 글까지해서 코스피가 일, 주, 월 단위로 어느 정도 변동하는지 리서치를 해봤습니다.
개인적으로 느끼기에는 코스피의 월간 변동은 의외로 큰 것 같습니다. 이러한 변동성에서 다양한 기회를 찾아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투자 정보 > 보부상 L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5월 코스피 방향성 예측 (1) | 2025.05.02 |
---|---|
2025년 4월 코스피 방향성 예측 (4) | 2025.04.01 |
2025년 코스피 방향성 전망 (2) | 2025.03.20 |
코스피 지수의 주간 변동성 분석 (0) | 2025.03.05 |
코스피 지수의 일간 변동성 분석 (0) | 2025.03.01 |